본문 바로가기

엄마가 되기 위한 정보

제왕절개에 대해서

반응형

제왕절개에는 예정된 경우와 응급으로 제왕 절개하는 경우로 나뉩니다.

 

먼저, 예정 제왕 절개하는 경우에는 

 

1. 임신 36~37주 지나도 역아이거나 옆으로 누워있다면 제왕절개로 분만해야 합니다. 엉덩이나 발이 머리보다 먼저 나올 경우 태아가 머리나 목을 다칠 수 있고 머리가 산도를 통과할 때 탯줄이 머리와 골반 사이에 끼어 일시적으로 산소공급이 중단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태반이 자궁 입구를 막고 있을 경우입니다. 임신 30주 이후가 되어도 태반이 밑에  있는 상태를 전치태반이라고 하는데 태반의 위치가 약간 낮은 경우부터 태반이 완전히 자궁 구를 막은 경우까지, 태아가 나갈 입구가 막혀 있으므로 출혈이 많아져 분만이 어렵습니다. 또, 태반이 자궁 구에 가까운데 자연분만을 하면 태반이 떨어진 후에 자궁 수축이 잘 되지 않아 출혈이 심할 수 있습니다.

 

3. 이전에 제왕절개를 했거나 자궁근종이나 자궁파열 경험이 있는 경우, 자궁 염증으로 심한 고열을 경험한 적이 있다면 자연분만이 어렵습니다.

 

4. 산모가 평소 선천성 심장병, 천식, 갑상샘 질환이나 당뇨를 앓고 있다면 자연분만이 어렵습니다.

 

5. 산모가 임신중독증을 앓는 경우 태아의 몸이 해당 주 수의 다른 태아보다 3~4주 작은 편입니다. 임신 기간 동안 태아에게 제대로 혈액이 공급되지 못하기 때문에 대부분 경우 예정일보다 앞당겨 유도분만을 진행합니다. 하지만, 촉진제를 투여하고도 자궁입구가 열리지 않을 경우 제왕절개를 합니다.

 

6. 태아가 4kg 이상의 거대아인 경우 분만 시 자궁파열이  될 위험이 높고 진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난산이 예상되어 제왕절개를 합니다.  반대로 2.5kg 이하 저체중아인 경우 자연분만을 견뎌낼 만큼 건강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왕절개를 합니다.

 

7. 임신 전 허리 질환을 앓았거나 임신기간 중 걷는 데 장애를 줄 정도의 허리 통증이 있다면 자연분만 시 허리를 구부리고 힘을 주면서 척추에 무리가 갈 수 있으므로 제왕절개를 고려해야 합니다.

 

응급 제왕 절개하는 경우에는

 

1. 태아가 산도를 빠져나오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태아가 산도에 오래 머물러 있으면 탯줄이 눌려 태아에게 충분한 양의 산소가 공급되기 어렵습니다. 자궁 구가 10cm 이상 열리고 2시간 이내에 태아가 산도를 빠져나오지 못하면 긴급 제왕절개를 해야 합니다.

 

2. 태아가 나오기 전에 태반이 자궁벽에서 떨어져 나가는 태반 조기 박리가 일어나면 모체와의 연결이 끊겨 태아가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게 됩니다. 이 경우, 10분 안에 태아를 밖으로 꺼내지 않으면 생존할 확률이 거의 없으므로 응급 제왕절개를 해야 합니다.

 

3. 산모의 골반이 작거나 태아의 머리가 산모 골반보다 큰 경우 자궁 수축이 시작되어도 오랫동안 분만이 진행되지 않습니다. 특히, 태아의 머리가 큰 경우에는 내진으로 예측하기 어렵고 진통이 시작되어야만 알 수 있어 자연분만을 시도하다가 발견하게 되면 즉시 제왕절개를 해야 합니다.

 

 

4. 파수 전에 탯줄이 자궁 구가 가까이 내려오거나 파수 후 탯줄이 태아보다 먼저 나오면 태아에게 산소공급이 되지 않습니다. 자궁 구가 완전히 벌어져 수 분내에 태아가 밖으로 나올 수 있는 상태가 아니라면 제왕절개를 해야 합니다. 이 같은 경우는 탯줄이 너무 길거나 양수가 지나치게 많은 경우에 주로 나타납니다.

 

5. 갑자기 태아의 심장박동 수가 줄어들면 태아가 위험하다는 신호이며 산모가 빈혈이 심하거나 고열이 있는 경우, 태아가 탯줄을 몸에 감고 있거나 태변을 본 경우, 태반 조기 박리인 경우에 나타나며 바로 제왕절개를 해야 합니다.

 

6. 진통은 태아를 밖으로 밀어내는 원동력으로 진통이 약하거나 도중에 약해지면 촉진제를 주사해 유도분만을 시도하지만, 진통이 아주 미약하거나 촉진제를 맞고도 진통이 시작되지 않으면 제왕절개로 분만을 해야 합니다.

 

7. 양수가 미리 터진 경우 18시간 이내에 진통이 오면 자연분만을 할 수 있지만,  파수가 되면 질을 통해 태아가 세균에 감염될 위험이 높으므로 서둘러 유도분만을 하게 됩니다. 유도분만을 위해 촉진제를 투여했음에도 진통이 오지 않는다면 제왕절개를 해야 합니다.

 

제왕절개 과정

 

1. 보호자가 수술 동의서를 작성합니다.

 

2. 수술 전날 미리 입원합니다. 수술이 예정된 경우 출산 예정일 일주일 전으로 수술 날짜를 잡고 보통 수술 전날 입원해서 심전도 검사와 혈액 검사, 소변검사, 간 기능 검사, 초음파 검사 등 수술에 필요한 검사를 받아 태아와 산모 상태를 체크합니다. 또, 수술 중 위에 있던 음식물이 폐로 들어갈 경우 폐렴에 걸릴 수 있으므로 수술 8~10시간 전부터 금식을 해야 합니다.

 

3. 마취와 음모를 제거하고 소독하는 수술 준비를 합니다. 

 

4. 치골 위 3cm 정도 되는 지점을 약 10cm 정도 길이로 절개합니다. 

 

5. 태아가 들어 있는 자궁벽을 절개합니다.

 

6. 태아를 감싸고 있는 양막을 자른 후, 손을 집어넣어 태아 머리를 잡고 자궁 밖으로 천천히 끌어냅니다. 머리가 나오면 입과 기도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몸이 완전히 나오면 탯줄을 자릅니다. 태반을 꺼내는 동안 신생아 응급처치를 합니다.

 

7. 태반을 꺼내고 양수나 양막 찌꺼기를 제거한 후, 자궁수축을 확인하고 문제가 없으면 봉합합니다. 자궁 절개부를 봉합해 자궁을 제자리에 넣고 복벽을 층층이 꿰매는데 봉합이 끝나면 소독해서 감염을 막습니다.

 

8. 산모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보통 수술 2시간 정도 지나면 마취에서 깨어나고 혈압이 정상으로 돌아오면 입원실로 옮겨 수액과 항생제를 맞으며 휴식을 취합니다. 가스가 나오기 전에는 물도 마실 수 없는 게 원칙이지만, 요즘은 의사의 판단에 따라 가스가 나오기 전이라도 일찍 음식 섭취를 권장하는 추세입니다.

 

9. 제왕절개를 했더라도 첫날부터 모유수유를 할 수 있지만 아기를 병실로 데려와 옆으로 누워 수유할 수 있습니다. 보통 젖이 잘 나오지 않고 수술 후 3일이 지나야 초유가 나오지만 젖을 계속 물려야 이후 모유수유가 원활해집니다.

 

10. 수술한 다음날은 수술부위를 소독합니다. 출혈량이 많고 염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수술 후 수액을 맞으면서 항생제와 진통제 치료를 받고 빈혈과 감염은 없는지 혈액검사도 받습니다. 보통 하루 정도 지나면 도뇨관을 제거하고 자궁 회복과 장운동을 촉진하기 위해 가벼운 운동을 하여 가스 배출이 되면 식사를 할 수 있습니다. 수술부위에 잘 소독하고 통풍시키며,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11. 수술 후 24~48시간 내에 가스가 배출됩니다. 보통 가스가 배출되어야 물과 미음을 먹을 수 있는데 먼저 물부터 조금 마셔 갈증을 해소하고 미음, 죽, 밥 순서로 단계를 높입니다. 산후식을 제대로 먹을 때까지 변비로 고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가스가 나오면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해서 변비를 예방합니다.

 

12. 3일째부터는 몸 움직임이 어느 정도 자유로워져 본격적으로 모유수유를 할 수 있습니다. 신생아는 2시간 간격으로 수유하며 유축기로 모유를 짜 놓았다가 신생아실에 가져다 주기도 합니다.

 

13. 4일이 지나면 회복을 빨리 하기 위해 병실을 왔다 갔다 하거나 가벼운 운동을 합니다. 산모의 몸에 특별한 이상이 없다면 빠르면 5일, 보통 7일째에는 퇴원을 하게 됩니다.

 

14. 수술 후 5~7일째에는 수술부위 실밥을 뽑고 회복상태를 점검합니다. 퇴원 날짜가 가까워지면 산후조리 기간에  특별히 주의할 점이나 모유수유 방법을 알려줍니다.

 

반응형

'엄마가 되기 위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산 후 몸의 변화  (0) 2020.04.19
브이백에 대해서  (0) 2020.04.18
무통분만과 유도분만  (0) 2020.04.16
여러가지 분만방법  (0) 2020.04.13
입원 준비물에 꼭 필요한 것  (0) 2020.04.11